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법] 2022 A 기입 3번

 

 

[해설의 바다]

1. 기입형 문제를 푸는 순서 : 발문 → 빈칸 앞뒤 → 전체 글

 기입형 문제는 빠르게 치고 나가야 합니다. [발문] 3번 발문은 'ㄱ,ㄴ에 들어갈 말을 써라'입니다. 그렇다면 바로 'ㄱ,ㄴ' 앞 뒤 문맥을 읽고 문제가 요구하는 내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 문제는 기출 분석을 할 땐 (1) (2) 모두 분석하고 공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 문제를 풀 땐 (3)만 읽어도 되는 문제입니다. 

2. 빈칸 앞뒤 문맥을 읽고 지시한 사항에 따라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임용 기출의 포인트 : 대조항!  <정답이 있는 서술형 문제에선 반드시 대조항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답의 범위를 좁히고, 답안을 명확히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조항 찾기'는 국어 임용 전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ㄱ), (ㄴ) 각각 예시에 맞는 대조항을 찾아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이르러[이르러]'에서 불규칙한 부분을 어간이라고 본다면 기뻐 = 기쁘- + -어

불규칙한 부분을 어간이라고 보기 때문에, 어미는 규칙!

이르러 = X + -어

어미 자리에 '-어'를 고정해서 어간을 도출해 봅시다.
 이르러 = X + -어, 로 문제를 풀면 X = '이를-'입니다. 
어간을 ( (ㄱ) '이를-' )로 분석하게 된다. 
'이르러[이르러]'에서 불규칙한 부분을 어미라고 본다면 기쁘고 = 기쁘- + -고
기쁘니 = 기쁘- + -니
기뻐 = 기쁘- + -어
이르고 = 이르- + -고
이르니 = 이르- + -니

불규칙한 부분을 어미라고 보기 때문에, 어간은 규칙! 

'이르고, 이르니'의 어간이 '이르-'인 것처럼, '이르러'도 어간은 '이르-'일 것입니다.
어간을 ( (ㄴ) '이르-'로 분석하게 된다.

※ '이르러'는 불규칙한 부분을 어미라고 본다면 '이르- +-러'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정답의 바다]

(ㄱ) 이를- 배점 : 1점
(ㄴ) 이르- 배점 : 1점 

 

[합격의 지름길]

용언의 활용은 객관식 및 서술형에서 지속적으로 출제된 영역입니다. <보기>를 활용해 규칙과 불규칙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시면 좋을 듯합니다. 더불어 수능 기출 모고 기출도 함께 연계해 공부해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