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의바다 #임바다 #중세국어 #명사형어미 #명사파생접미사 #중등국어 #국어교사 #임용국어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1B - 1번 중세국어 (1) 고운 새는 좋은 울음(을) 울더니 (2) 까마귀가 기삐(기쁘게) 우는 것은 개가하여 * 둏다 : 좋다 * 좋다 : 깨끗하다 [해설의 바다] '문장에서의 기능' 또는 '다른 문장 성분들과의 결합 양상'을 기준으로 ㉠과 ㉡을 채워야 합니다. (1) 에서 관형어 '됴한'은 '우룸'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합니다. 명사를 수식합니다. 따라서 '우룸'은 명사입니다. (2)에서 '우루믄'은 부사 '깃비'의 수식을 받고 있습니다. 부사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곤 용언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따라서 '우루믄'은 용언의 활용입니다. [모범 답안] ㉠ 관형어 '됴한'의 수식을 받는다 [1점] ㉡ 부사 '깃비'의 수식을 받는다 [1점] [임용의 TIP] 1번 문제를 통해 알아가야 할 내용 1..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