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임용 #임용국어 #국어 #국어임용고시 #어부단가 #어부사시사 #어부사시사발문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0A-9] <어부단가> <어부사시사> <어부사시사> 발문 9. 다음은 ‘고전 시가의 전승 및 창작 과정의 문학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 자료이다. (가)~(다)를 읽고, 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가) 구버 천심녹수(千尋綠水) 도라보니 만첩청산(萬疊靑山) 십장홍진(十丈紅塵)이 언매나 롓 고 ㉠강호(江湖)애 월백(月白)거 든 더옥 무심(無心)얘라 장안(長安)을 도라보니 북궐(北闕)이 천리(千里)로다 어주(漁舟)에 누어신니즌 스치 이시랴 두어라 내 시아니라 제세현(濟世賢)이 업스랴 - 이현보, 「어부단가」 - (나) 취(醉)야 누얻다가 여흘 아래 리 려다 여 라 여라 낙홍(落紅)이 흘러오니 도원(桃源)이 갓갑도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인세홍진(人世紅塵)이 언메나 렷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