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번 분석에 앞서 요즘 국어 임용계에는 이런 말이 돕니다.
"더 이상 문학 공부는 필요 없는 것 같아."
"자습서 안 봐도 될 것 같아."
"해법 버릴까?"
"올인한 게 후회돼."
이런 말이 도는 이유가 뭘까요? 정말로 국어 임용고시가 지식이 없는 시험이라 그런걸까요?
아닙니다. 배경지식이 있다면 물론 우리가 문제를 푸는데 도움이 되겠죠. 그러나 현 임용고시 체제에서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지문'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조건>에 맞게 <보기>의 내용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론을 <보기>에 제시하고 작품 또는 교과서 학습활동을 지문으로 제시하여, 이론(보기)를 실제 작품/글에 적용하는 능력을 묻기 때문이죠.
그런 의미에서 11번은 <보기>에서 키워드를 찾아 작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아주 좋은 문제입니다.
[배점 분석]
(나)의 ⓐ가 드러나는 대상을 (가)에서 찾아 쓰고 | [1점] - 키워드 채점 |
ⓐ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할 것 | [1점] |
(나)의 관점에서 ㉠의 상정적 의미를 서술할 것 | [1점] - 키워드 채점, (나)에서 키워드를 찾아야 함 |
(나)의 관점에서 ㉡의 상징적 의미를 서술할 것 | [1점] - 키워드 채점, (나)에서 키워드를 찾아야 함 |
[문제 풀이]
작품에 대한 지식이 없다는 전제 하에 문제 풀이를 하겠습니다만, 기출 분석을 제대로 했다면. 여러분은 11번 문제를 풀면서 지난 기출,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떠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1. (나)의 ⓐ가 드러나는 대상을 (가)에서 찾아 쓰고
ⓐ는 '해방-구속'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은 (가)에서 '해방'되고 '구속'되는 존재를 찾아야 합니다. (가)에서 '새'가 낮엔 해방이 되지만, 밤이면 다시 구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를 ⓐ가 드러나는 대상으로 찾으면 되겠습니다.
2. ⓐ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할 것
'새'가 어떻게 해방되고 구속되는지 설명하면 됩니다. '새'가 해방되는 첫 공간은 '방생의 집'이고 '새장의 새'를 다시 구속하는 방법은 잠든 새들을 사냥하는 '손쉬은 사냥법'입니다. 문학은 지문의 언어를 최대한 활용하여 답을 서술하면 좋습니다. '새는 '방생의 집'을 통해 일시적으로 해방을 경험하지만, 밤이면 사내의 '손쉬운 사냥법'에 의해 다시 새장에 구속되기 때문이다.'와 같이 간략히 정리하면 됩니다.
3,4. (나)의 관점에서 ㉠과 ㉡의 상정적 의미를 각각 서술할 것
이청준 소설론에 해당하는 (나)를 잘 읽어보기 바랍니다. 여기에서 주목할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이청준 소설은 폭력과 억압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의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이 문장은 이청준 소설이 갖는 주된 '중심 내용(주제)'를 개관합니다. 둘째, <잔인한 도시> 또한 권력과 자유의 문제를 이러한 방식(우의적, 관념적인 방식으로 서사화)했다. 이 문장을 통해 ㉠과 ㉡의 상징적 의미를 풀 때, '권력', '자유'가 키워드로 들어가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가겟집 젊은이'는 새를 해방시키기도 하고, 구속하기도 하는 존재이죠. 집단과 개인의 관계 측면에서 '가겟집 젊은이'는 개인을 움켜지는 집단이고, 권력과 자유의 문제 측면에서는 개인에게 자유를 주기도 하고, 앗아가기도 하는 권력입니다. (나)에서 <잔인한 도시>는 권력과 자유의 문제를 다루었다고 하였으므로, ㉠의 키워드는 '권력'입니다. (+'자유'를 함께 서술해야 합니다.)
㉡'전짓불의 환한 빛줄기'는 ㉠사내(권력)이 새의 자유를 빼앗기 위한 수단입니다. 깜깜한 밤에 전짓불로 새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새들을 잡아가기 때문이죠. 따라서 '권력'이 개인의 자유를 통제하는 방법, (나)의 '폭력과 억압'이 ㉡의 키워드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의 상징적 의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유를 부여하고 또 빼앗는 위선적인 권력이다. ㉡의 상징적 의미는 권력이 자유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인 폭력과 억압이다.
[모범 답안 및 키워드]
(나)의 ⓐ가 드러나는 대상은 '새(또는 새장의 새)'이다. '새'들은 '방생의 집'을 통해 일시적으로 해방을 경험하지만, 밤이면 잠든 새들을 다시 가두는 사내의 '손쉬운 사냥법'의 의해 다시 새장으로 '구속'되기 때문이다. (나)의 관점에서 ㉠의 상징적 의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유를 통제하는 위선적인 권력이다. ㉡의 상징적 의미는 권력이 자유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 폭력과 억압이다. |
새 (새장의 새) 방생의 집 손쉬운 사냥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