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용의 바다 : 관련 이론/국어교육론

베라이터(베레이터) 쓰기 능력 발달 단계

쓰기 능력의 발달 단계

 

 

현대적 관점에서는 쓰기 능력을 필자가 쓰기 목적을 고려하여 자신의 쓰기 과정을 조절하고 적절한 기능과 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쓰기의사소통 목적달성하기 위한 복잡한 인지적 과정으로 바라보는 데 기인한다. , 현대적 관점에서 능숙한 필자는 독자가 필자의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게 자신의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개하는 전략가의 형상을 띠고 있다.

 

베레이터의 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상적 쓰기

떠오로는 생각 위주의 글쓰기
수행적 쓰기
2012. 8번 
2022B. 1번

연상적 쓰기 + 문법적 규범 기능
의사소통적 쓰기
2022B. 1번 (언급)

수행적 쓰기 + 독자를 고려하는 글쓰기
통합적 쓰기

의사소통적 쓰기 + 자기 비판적 평가(고쳐쓰기)
인식적 쓰기

통합적 쓰기 + 반성적 사고

 

연상적 쓰기(associative writing)

필자는 마음속에 떠오른 생각들을 순서대로 기록하는 쓰기를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계획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기보다 자료에 이끌려 쓰기를 하며, 독자를 고려하지 않는 필자 중심의 쓰기를 한다. 이 단계의 필자는 즉각적인 생각의 흐름을 끌어낼 수 있는 주제는 쉽게 쓰지만, 쓸 거리가 떨어지면 쓰기를 멈추거나 주제와 관련 없는 내용을 쓴다

 

▶ 2011년 7번 기출문제에서 연상적 쓰기 단계 학생이 출제됨. 

방학 때 있었던 일이나 여행한 일 같은 주제는 쓰기가 좋은데, 주제가 낯설면 저는 무엇을 써야 할지 몰라서 글이 잘 써지지가 않습니다.
 

수행적 쓰기(performative writing)

연상적 쓰기에 어법, 문체, 장르 관습 측면에서의 능숙성이 더해져 나타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필자들은 맞춤법이나 구두법, 특정한 표현의 활용이나 회피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쓰기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2012.8번 2022B 1번 출제

 

의사소통적 쓰기(communicative writing)

수행적 쓰기에 사회적 인지가 통합된 것으로(기출: 사회적 인지 기능이 통합된 것) 예상 독자의 요구를 의도적으로 고려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필자에게 있어 드러나지 않는 독자를 고려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미숙한 필자는 연상적이고 수행적인 쓰기 단계의 요소에 몰두하느라 독자를 고려하지 못한다. 의사소통적 쓰기에서 필자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독자를 고려하여 메시지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통합적 쓰기(unified writing)

 예상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면서 필자 스스로 독자의 입장이 되어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필자는 자신이 독자가 되어 자기 글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 함으로써 자신의 글을 개선할 수 있다.

 

인식적 쓰기(epistemic writing)

통합적 쓰기에 반성적 사고가 더해질 때 나타난다. 이 단계에서 필자는 자신의 지식이나 쓰기 과정 등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글을 씀으로써 새로운 인식을 창조할 수 있게 된다. 인식적 쓰기는 쓰기 발달의 정점에 해당하며, 여기서 쓰기는 사고 그 자체에 가까워진다.

 

베레이터의 쓰기 능력 발달 단계 이론의 의의

 

1. 쓰기 능력의 발달 단계를 파악하는 것은 학습자 중심이 체계적인 쓰기 교육을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 쓰기는 그 자체로 학습자들에게 많은 인지적 부담을 초래하는데, 발달 단계를 뛰어넘은 교육을 시행하는 것은 학습의 효과와 쓰기 흥미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활용의 바다 : 관련 이론 > 국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3R 모형  (0) 20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