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SQ3R 모형 SQ3R 모형 SQ3R 모형은 전통적이고도 대표적인 읽기 학습 체계이자 전략이다. 로빈슨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 모형은 추후 수정을 통해 여러 모형으로 변형되면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읽기 학습을 돕는 방법으로 오래도록 활용되었다. SQ3R을 지도할 때 각 단계가 상호보완적이며 회귀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후 SQ3R의 변이형이 제안되기 시작하는데, CSQ3R이 그 예이다. CSQ3R은 기존의 SQ3R에 ’시각 바꾸기‘를 추가한 것으로, 기존 방식에 비해 좀 더 적극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SQ3R 모형의 절차 절차 교수학습 활동 훑어보기 (Survey) ∙ 제목 중심으로 훑어보기 ∙ 주제어 중심으로 훑어보기 ∙ 텍스트의 핵심 내용을 예측하기 .. 더보기
[2021B - 3번] 과정 중심 읽기 지도 - SQ3R, KWL [ 해설의 바다 ] 1. ㉠, ㉡의 공통점을 방법적 측면에서 2가지 제시할 것. 학생 : 저는 글을 본격적으로 읽기 전에 이 글이 어떤 내용인지를 간단하게 살펴보았어요. 제목과 대략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사서를 읽는 방법을 설명한 글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S Know - 읽기 전에 제목이나 저자 등을 보고, 알고 있는 정보 떠올리기 학생 : 그리고 제목이나 대강 살펴본 내용을 보면서 궁금한 점들을 떠올려 보았어요. 교사 : 어떤 점들이 궁금했지요? 학생 : 사서는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지? 이 순서를 따라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런 점이 궁금했어요. Q Want to learn - 읽으면서 알고 싶은 내용 정하기 학생 : 그런 다음 글을 읽기 시작했어요. 교사 : 글을 어떻게 읽었어요? 학생 .. 더보기
[2021B - 2번] 고쳐쓰기, 작문 [ 해설의 바다 ] ● 고쳐쓰기의 목적은 단순히 글의 잘못된 점을 찾는 것이 아니라 ( ㉠ )이 이해하기 쉽게 글을 개선하는 데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봅니다. → 필자가 쓰는 글은 '독자'를 향합니다. 따라서 ㉠은 '독자'입니다. ● (㉠)은 쓰기 맥락 혹은 수사적 맥락을 고려하며 고쳐쓰기를 하는 활동과 관련하여 지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쓰기 맥락과 수사적 맥락에는 공통적으로 '독자'가 있습니다. 따라서 다시 한번 (㉠)은 '독자'라는 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서 강조하는 ( ㉡ )와/과 관련이 있습니다. 쓰기에 대한 ( ㉡ )이 높은 필자일수록 자신의 쓰기 과정에 대한 점검과 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합니다. → 쓰기의 결과물과 형식적인 요소에 집중하던 형식주.. 더보기
2021B - 1번 중세국어 (1) 고운 새는 좋은 울음(을) 울더니 (2) 까마귀가 기삐(기쁘게) 우는 것은 개가하여 * 둏다 : 좋다 * 좋다 : 깨끗하다 [해설의 바다] '문장에서의 기능' 또는 '다른 문장 성분들과의 결합 양상'을 기준으로 ㉠과 ㉡을 채워야 합니다. (1) 에서 관형어 '됴한'은 '우룸'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합니다. 명사를 수식합니다. 따라서 '우룸'은 명사입니다. (2)에서 '우루믄'은 부사 '깃비'의 수식을 받고 있습니다. 부사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곤 용언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따라서 '우루믄'은 용언의 활용입니다. [모범 답안] ㉠ 관형어 '됴한'의 수식을 받는다 [1점] ㉡ 부사 '깃비'의 수식을 받는다 [1점] [임용의 TIP] 1번 문제를 통해 알아가야 할 내용 1.. 더보기
베라이터(베레이터) 쓰기 능력 발달 단계 쓰기 능력의 발달 단계 현대적 관점에서는 쓰기 능력을 필자가 쓰기 목적을 고려하여 자신의 쓰기 과정을 조절하고 적절한 기능과 전략을 활용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쓰기를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잡한 인지적 과정으로 바라보는 데 기인한다. 즉, 현대적 관점에서 능숙한 필자는 독자가 필자의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게 자신의 생각을 효율적으로 전개하는 전략가의 형상을 띠고 있다. 베레이터의 쓰기 능력 발달 단계 연상적 쓰기 떠오로는 생각 위주의 글쓰기 수행적 쓰기 2012. 8번 2022B. 1번 연상적 쓰기 + 문법적 규범 기능 의사소통적 쓰기 2022B. 1번 (언급) 수행적 쓰기 + 독자를 고려하는 글쓰기 통합적 쓰기 의사소통적 쓰기 + 자기 비판적 평가(고쳐쓰기) 인식적 쓰기 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