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의 바다/2020 중등 국어 해설

[2020B - 5번] 누항사

5. 다음은 누항사의 일부이다. <보기>를 참고하여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

어리고 우활(迂闊)더니 업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날긔 부쳐 두고
누항(陋巷) 깁푼 곳의 초막(草幕)을 지어 두고
풍조우석(風朝雨夕)에 석은 딥히 셥히 되야
셔홉 밥 닷홉 죽()에 연기(煙氣)도 하도 할샤
설 데인 숙냉(熟冷)애 뷘 쇡일 로다
생애(生涯) 이러장부(丈夫) 옴길넌가
안빈일념(安貧一念)을 젹을망정 품고 이셔
수의(隨宜)로 살려 날로조차 저어(齟齬)
부족(不足)거든 봄이라 유여(有餘)
주머니 뷔엿거든 병()의라 담겨시랴
빈곤(貧困)인생(人生)이 천지간(天地間)의 나
기한(飢寒)이 절신(切身)일단심(一丹心)을 이질
분의망신(奮義忘身)죽어야 말녀 너겨
우탁우낭(于橐于囊)의 줌줌이 모와 녀코
병과오재(兵戈五載)예 감사심(敢死心)을 가져 이셔
이시섭혈(履尸涉血)몃 백전(百戰)을 지
일신(一身)이 여가 잇사 일가(一家)를 도라보랴
일노장수(一奴長鬚)노주분(奴主分)을 이졋거든
고여춘급(告余春及)을 어사이
경당문노(耕當問奴)​ ​
궁경가색(躬耕稼穡)()인 줄 알리로다
- 박인로, 누항사-
<보 기>
16세기 말에서 17세기에 걸친 전란을 거치면서 조선 후기에는 경제적으로 몰락하거나 정치적으로 몰락한 양반층이 생겨났다. 박인로, 정훈 등과 같은 작가들도 이러한 계층에 속하는데 이들의 가사에도 변화하는 시대의 징후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중앙 정계에 진출하지 못하고 소외된 지방의 한미한 사() 계층으로, 그 가운데 일부는 물적 기반이 미약하여 스스로 농사일에 종사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리기도 했다.
<작성 방법>
<보기>를 참고하여, 작가에게 삶의 전환을 가져온 계기가 된 사건과 이후 변화된 사회적 처지를 알려 주는 시어를 작품에서 각각 찾아 쓰고, 그 의미를 각각 서술할 것.
작품의 화자가 지향하는 삶과 그가 처한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나타나는 양립적인 의식을 <보기>를 참고하여 서술할 것.

 

< 문제 풀이 과정 > 

1.  <보기>를 참고하여, 작가에게 삶의 전환을 가져온 계기가 된 사건과 이후 변화된 사회적 처지를 알려 주는 시어를 작품에서 각각 찾아 쓰고, 의미를 각각 서술할 것.

작가에게 삶의 전환을 가져온 계기가 된 사건을 알려 주는 시어 兵戈五載(병과 오재)예 敢死心(감사심)을 가져 이셔
전쟁 오 년에 감히 죽겠다는 마음(충성심)을 가지고 있어
*병과 ; 병정과 창 → 전쟁. 대유법


履尸涉血(이시 섭혈)하야 몃 百戰(백전)을 지내연고
시체를 밟고 피를 건너 몇백 번의 전투를 지냈는가(겪었는가).

'병과 오재'는 임진왜란을 의미하며, '백전'은 임진왜란 안에 있는 여러 전투를 의미하므로 '병과 오재'가 가장 적합한 답변입니다. 
 변화된 사회적 처지를 알려 주는 시어와 그 의미를 서술할 것.  躬耕稼穡(궁경 가색)이 내 分(분)인 줄 알리로다.
몸소 밭 갈고 씨 뿌려 곡식을 거둠이 (몸소 농사를 지음이) 나의 분수인 줄 알겠도다.

변화된 사회적 처지를 알려 주는 시어는 '궁경 가색'이고, 그 의미는 <보기>를  참고하여 스스로 농사일에 종사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렸음을 의미한다로 서술하면 되겠습니다. 

 

2. 작품의 화자가 지향하는 삶과 그가 처한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나타나는 양립적인 의식을 <보기>를 참고하여 서술할 것.

1) 화자가 지향하는 삶 : 중앙 정계에 진출 (+수기치인하는 사대부로서의 삶)

2) 그가 처한 현실 : ( 경제적, 정치적으로 몰락한 )소외된 지방의 한미한 선비 계층

3) 양립적인 의식 : 안빈일념의 자세로 사대부로서의 이상을 지키려는 의식과 가난을 자신의 분수로 수용하여 체념하는 양립적인 의식이 나타난다.

이 문제에서 '궁경가색'과 관련된 내용이 1번, 2번 조건에서 겹쳐 답안 서술이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1번 조건에서는 '궁경가색' 그 자체, 즉 농사를 지어야만 하는 사회적 처지에 포인트가 있다면, 2번 조건에서는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농경가색을 자신의 분수로 수용하는 측면에 포인트가 있습니다. 

 

[ 모범 답안 ]

작가는 5년 동안 치른 임진왜란인 '병과호재'는 작가에게 삶의 전환을을 가져온 계기가 되는 사건이다. 이후 작가는 경제적으로 몰락하거나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스스로 농사일에 종사해야 하는 사대부의 처지, '궁경 가색'의 처지로 변화되었다.

작품의 화자는 중앙 정계에 진출하는 사대부의 삶을 지향하지만, 그가 처한 현실은 소외된 지방의 한미한 사 계층으로 괴리가 크다. 이로 인해 화자는 안빈일념하며 사대부로서의 이상(뜻)을 지키려는 의식과 가난을 자신의 분수로 수용하여 체념하는 의식, 양립적인 의식을 지니게 되었다.